지난 포스팅에 JDK 1.7 설치까지 진행을 해보았습니다.
2014/12/09 - [개발에필요한연동법/리눅스서버구축] - CentOS에 wget을 이용하여 JDK1.7 RPM 다운로드 후 설치하기
이어서 이번에는 WGET 명령어를 이용하여 톰캣 7버전을 다운로드 받아 동작시켜보도록 하겠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root@localhost local ] #cd /usr/local/ [root@localhost local ] # wget http://mirror.apache-kr.org/tomcat/tomcat-7/v7.0.57/bin/apache-tomcat-7.0.57.tar.gz -O tomcat7.tar.gz --2014-12-08 20:40:19-- http: //mirror .apache-kr.org /tomcat/tomcat-7/v7 .0.57 /bin/apache-tomcat-7 .0.57. tar .gz Resolving mirror.apache-kr.org... 182.161.117.136 Connecting to mirror.apache-kr.org|182.161.117.136|:80... connected. HTTP request sent, awaiting response... 200 OK Length: 8900571 (8.5M) [application /x-gzip ] Saving to: `tomcat7. tar .gz' 100%[=============================================>] 8,900,571 2.04M /s in 4.1s 2014-12-08 20:40:23 (2.08 MB /s ) - `tomcat7. tar .gz' saved [8900571 /8900571 ] --2014-12-08 20:40:23-- http: //tomcat7 . tar .gz/ Resolving tomcat7. tar .gz... failed: 이름 혹은 서비스를 알 수 없습니다. wget: unable to resolve host address `tomcat7. tar .gz' FINISHED --2014-12-08 20:40:23-- Downloaded: 1 files, 8.5M in 4.1s (2.08 MB /s ) [root@localhost local ] # |
rpm 파일이 아니고 tar 압축파일이므로 압축 해제를 해보도록 합니다.
1 | [root@localhost local ] # tar -zxvf tomcat7.tar.gz |
위처럼 압축을 푼 다음 "ls" 명령어로 압축해제된 디렉토리를 확인해보면 "apache-tomcat-7.x.xx" 디렉토리가 존재할 것입니다.
※ 서버실행전 본인의 가상머신이 아닌 실제PC에서 톰캣 기본포트인 "8080" 포트를 사용한다면 포트 변경 후 서버 실행을 해주셔야 합니다.
저는 로컬PC에 오라클XE 를 설치하여 "8080"포트를 사용하지 못하므로 톰캣포트를 "7070'으로 해주도록 하겠습니다.
1 2 | [root@localhost bin] # cd /usr/local/apache-tomcat-7.0.57/conf/ [root@localhost conf] # vi server.xml |
1 2 3 | <Connector port= "8080" protocol= "HTTP/1.1" connectionTimeout= "20000" redirectPort= "8443" /> |
port="8080"을 하단과같이 port="7070"으로 변경해주었습니다
1 2 3 | <Connector port= "7070" protocol= "HTTP/1.1" connectionTimeout= "20000" redirectPort= "8443" /> |
저장 후 톰캣 서버를 실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2 3 4 5 6 7 8 9 | [root@localhost local ] # cd /usr/local/apache-tomcat-7.0.57/bin/ [root@localhost bin] # ./startup.sh Using CATALINA_BASE: /usr/local/apache-tomcat-7 .0.57 Using CATALINA_HOME: /usr/local/apache-tomcat-7 .0.57 Using CATALINA_TMPDIR: /usr/local/apache-tomcat-7 .0.57 /temp Using JRE_HOME: /usr Using CLASSPATH: /usr/local/apache-tomcat-7 .0.57 /bin/bootstrap .jar: /usr/local/apache-tomcat-7 .0.57 /bin/tomcat-juli .jar Tomcat started. [root@localhost bin] # |
위 결과가 출력되면 정상적으로 톰캣이 실행된 것입니다.
하지만 외부 접속을 위해서는 8080 또는 변경해준 포트번호를
방화벽에서 해제해주어야 합니다.
1 | [root@localhost bin] # vi /etc/sysconfig/iptables |
1 | -A INPUT -m state --state NEW -m tcp -p tcp --dport 톰캣포트번호 -j ACCEPT |
위 코드를 COMMIT 이전에 추가후 저장해주세요
그럼 iptables 서비스를 재시작 해주도록 합니다.
1 2 3 4 5 6 | [root@localhost bin] # service iptables restart iptables: 체인을 ACCEPT 규칙으로 설정 중: filter [ OK ] iptables: 방화벽 규칙을 지웁니다: [ OK ] iptables: 모듈을 언로드하는 중: [ OK ] iptables: 방화벽 규칙 적용 중: [ OK ] [root@localhost bin] # |
외부에서 접속테스트를 해보도록 합니다 .
다음과 같이 접속 실패화면이 출력될 것입니다.
이유는 방화벽 해제만 해주었을뿐이고
가상머신자체에서 포트포워딩 작업을 진행해주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포트포워딩으로 8080 혹은 톰캣 변경한 포트번호를
포트포워딩에 추가해주도록 합니다.
1. centos 가상공간 선택 후 [설정] 아이콘 버튼 클릭
2. [네트워크] -> [어댑터1] 탭 -> [고급(D)] 확장 -> [포트 포워딩] 버튼 클릭
3. 포트포워딩 포트 추가 후 [확인] 버튼 클릭 (호스트/게스트 IP) 생략해도 무관
포트가 추가되었으니 다시 접속해보도록 합니다.
위와같이 고양이화면이 정상적으로 출력되었으므로
톰캣연동은 완료 되었습니다.
by 개발로짜
CentOS tomcat-connector를 이용한 아파치 + 톰캣 간단 연동법 알아보기 (17) | 2014.12.11 |
---|---|
CentOS wget을 이용하여 Apache 2.4 다운로드 및 서버 실행 (방화벽해제 포함) (1) | 2014.12.10 |
CentOS에 wget을 이용하여 JDK1.7 RPM 다운로드 후 설치하기 (0) | 2014.12.09 |
putty,파일질라를 이용하여 가상머신(VirtualBox)에 설치된 CentOS 6.5 접속테스트 (2) | 2014.12.09 |
가상머신(Virutalbox)에 CentOS 6.5 설치 및 네트워크 설정한후 ping 테스트 (0) | 2014.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