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Query의 이전강좌에 간단하게 id,class,태그별로 간단하게 셀렉터를 알아보았습니다. 2014/11/11 - [웹개발강좌/jQuery] - jQuery 2강 - jQuery 자주 사용되는 id,class,태그별 셀렉터 맛보기 추가로 몇가지 셀렉터를 이용하여 태그엘리먼트를 찾아보고 추가로셀렉터 + jQuery 필터를 이용하여 엘리먼트태그들을 찾아보..
jQuery 1.6이전에는 attr() 함수를 이용하여모든 태그의 속성을 제어가 가능했지만1.6부터는 prop()라는 함수가 추가되어 attr() 함수의 역할을 나누어 주게 되었습니다.일반적인 태그속성의 값을 변경하고자 할때는 attr()함수를 사용하고태그속성에 따라서 기능이 제어되는 속성에 대해서는 prop()함수를 사용합니다.간단하게 alert창을 띄워..
jQuery에서 지원되는 함수만으로 간단하게 태그값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그리고 반대로 원하는 값을 태그값에 적용 또한 가능합니다.html()함수와 text() 함수 그리고 val() 함수에 대하여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셀렉터").html() 셀렉터태그내에 존재하는 자식태그을 통째로 읽어올때 사용되는 함수※ 태그 동적추가할때 주로 사용되는 ..
jQuery의 이전강좌에 간단하게 id,class,태그별로 간단하게 셀렉터를 알아보았습니다.
2014/11/11 - [웹개발강좌/jQuery] - jQuery 2강 - jQuery 자주 사용되는 id,class,태그별 셀렉터 맛보기
추가로 몇가지 셀렉터를 이용하여 태그엘리먼트를 찾아보고 추가로 셀렉터 + jQuery 필터를 이용하여
엘리먼트태그들을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에 html 태그를 이용하여 value출력을 해본 적이 있습니다.
만약 input 태그의 값을 찾고자 할경우, input 태그의 타입이 checkbox,text,password 등 여러가지가 있으므로 $("input").val()로는
정확한 값을 출력하기 어렵습니다.
속성값을 이용한 셀렉터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예들들기위하여 HTML 태그와 스크립트코드를 하단 처럼 작성한 다음 실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2 3 4 | < input type = "checkbox" value = "1" />< br /> < input type = "text" id = "txt" value = "2" />< br /> < input type = "text" data = "txt2" value = "3" />< br /> < input type = "password" class = "pwd" value = "4" /> |
1 2 3 4 5 6 7 8 9 | $( function (){ var checkbox_val = $( "input[type=checkbox]" ).val(); //$("#txt").val()과 동일 var text_val = $( "input[id=txt]" ).val(); var text_val2 = $( "input[data=txt2]" ).val(); //$(".pwd").val()과 동일 var password_val = $( "input[class=pwd]" ).val(); alert(checkbox_val+ "," +text_val+ "," +text_val2+ "," +password_val); }) |
위처럼 각 태그별 결과값이 하나의 alert창에 출력이 되었습니다.
속성별 셀렉터에 대한 문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 $( "태그[속성명=속성값]" ) |
추가로 input 태그는 조금더 심플하게 지원이 가능합니다.
1 | $( ":input태그의type명" ) |
예를들기 위해 코드를 재작성 해보겠습니다.
1 2 3 | < input type = "checkbox" value = "11" />< br /> < input type = "text" value = "22" />< br /> < input type = "password" value = "33" /> |
1 2 3 4 5 6 | $( function (){ var checkbox_val = $( ":checkbox" ).val(); var text_val = $( ":text" ).val(); var password_val = $( ":password" ).val(); alert(checkbox_val+ "," +text_val+ "," +password_val); }) |
정상적으로 값이 출력되었습니다.
주로 사용되는 필터 셀렉트를 몇가지 정리해보았습니다.
$("element:first") : 엘리먼트의 첫번째 셀렉터
$("element:last") : 엘리먼트의 마지막 셀렉터
$("element:even") : 엘리먼트의 짝수 셀렉터
$("element:odd") : 엘리먼트의 홀수 셀렉터
$("element:eq(index)") : 엘리먼트의 인덱스 셀렉터(첫번째 = index값이 0부터 시작)
지금까지 설명한 셀렉터외에 좀더 많은 종류를 확인하고자 하신다면 하단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http://api.jquery.com/category/selectors/
다음장은 jquery의 Traversing 이라는 것을 이용하여 특정엘리먼트로부터 원하는 위치의 태그를 검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by 개발로짜
jQuery 7강 - 공백제거(trim) 및 반복문(each)에 대하여 간단하게 알아보자 (2) | 2014.12.02 |
---|---|
jQuery 6강 - (Traversing) 특정 태그로부터 다른 태그의 위치 찾아보기 (2) | 2014.12.01 |
jQuery 4강 - attr() vs prop() 함수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알아보자 (4) | 2014.11.15 |
jQuery 3강 - html() vs text() 함수 차이점 알아보기 + val() 함수를 이용한 input 태그의 값 확인 추가 (0) | 2014.11.12 |
jQuery 2강 - jQuery 자주 사용되는 id,class,태그별 셀렉터 맛보기 (0) | 2014.11.11 |
jQuery 1.6이전에는 attr() 함수를 이용하여 모든 태그의 속성을 제어가 가능했지만
1.6부터는 prop()라는 함수가 추가되어 attr() 함수의 역할을 나누어 주게 되었습니다.
일반적인 태그속성의 값을 변경하고자 할때는 attr()함수를 사용하고
태그속성에 따라서 기능이 제어되는 속성에 대해서는 prop()함수를 사용합니다.
간단하게 alert창을 띄워서 각태그 값을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BODY 태그내에 다음 코드를 추가해봅니다.
1 | < input type = "checkbox" checked = "checked" id = "check_box" class = "check_class" /> |
attr/prop 함수를 이용하여 각 속성들의 결과값을 가져와 보겠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 function (){ //checkbox의 아이디속성값 var prop_id = $( ":checkbox" ).prop( "id" ); //checkbox의 클래스속성값 var prop_class = $( ":checkbox" ).prop( "class" ); //checkbox 체크유무(true/false) var prop_checked = $( ":checkbox" ).prop( "checked" ); //checkbox의 아이디속성값 var attr_id = $( ":checkbox" ).attr( "id" ); //checkbox의 클래스속성값 var attr_class = $( ":checkbox" ).attr( "class" ); //checkbox의 체크 속성값(checked/undefined) var attr_checked = $( ":checkbox" ).attr( "checked" ); alert( "id값 prop : " + prop_id + " , attr : " + attr_id); alert( "class값 prop : " + prop_class + " , attr : " + attr_class); alert( "checked값 prop : " + prop_checked + " , attr : " + attr_checked); }); |
실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checked" 속성을 제외한 나머지는 prop() / attr() 함수결과가 동일하게 나왓습니다.
"checked" 속성은 기능관련 속성이라 prop 함수에서는 true/false로 출력을 시켜줍니다.
이번에는 text 태그를 한번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 < input type = "text" id = "text_field" class = "text_class" readonly = "readonly" disabled = "disabled" /> |
스크립트를 작성해보도록 합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 function (){ var prop_id = $( ":text" ).prop( "id" ); var prop_class = $( ":text" ).prop( "class" ); var prop_readonly = $( ":text" ).prop( "readonly" ); var prop_disabled = $( ":text" ).prop( "disabled" ); var attr_id = $( ":text" ).attr( "id" ); var attr_class = $( ":text" ).attr( "class" ); var attr_readonly = $( ":text" ).attr( "readonly" ); var attr_disabled = $( ":text" ).attr( "disabled" ); alert( "id값 prop : " + prop_id + " , attr : " + attr_id); alert( "class값 prop : " + prop_class + " , attr : " + attr_class); alert( "readonly값 prop : " + prop_readonly + " , attr : " + attr_readonly); alert( "disabled값 prop : " + prop_disabled + " , attr : " + attr_disabled); }) |
작성이 되었다면 실행을 해보도록 합니다.
위처럼 속성 값을 가져올경우에는
$("").attr("속성명") / $("").prop("속성명")
처럼 주면 됩니다.
이번에는 속성값을 변경 해주는 것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속성값 변경은
$("").attr("속성명","적용하고자하는값") / $("").prop("속성명","적용하고자하는값")
처럼 입력값 하나를 추가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기능에 대한 속성에 대한 값은 prop 함수를 이용하여 true/false 로 적용해주시면 되겠고
일반 속성에 대한 값은 attr함수를 이용하여 값을 적용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체크박스의 checked 속성을 변경해보도록 하겠습니다.
body태그에 다음 코드를 작성해봅니다.
1 | < input type = "checkbox" /> |
실행을 시켜보면 그냥 체크안된 체크박스하나만 덩그러니 나타날겁니다.
그럼 prop() 함수를 적용하여 체크되게 코드를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2 3 | $( function (){ $( ":checkbox" ).prop( "checked" , true ); }) |
체크박스가 체크가 되어 화면에 출력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attr함수를 이용하여 class속성을 추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class를 추가/삭제 하는 함수가 별도로 존재하지만 이 함수는 이후에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style태그에 클래스를 작성해주도록 합니다.
1 2 3 4 | .large_checkbox { width : 100px ; height : 100px ; } |
다음처럼 스크립트 호출을 해보도록 합니다.
1 2 3 | $( function (){ $( ":checkbox" ).attr( "class" , "large_checkbox" ); }) |
결과를 한번 보도록 해보겠습니다.
위처럼 체크박스의 가로세로 사이즈 변경하는 클래스가 정상적으로 적용되어
체크박스 사이크가 커진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prop 속성만을 사용할수도 있겠지만 각 속성에 따라 지원유무에 대한 차이가 있을수 있으므로
prop가 안되면 attr로 적용해보시면 되실거 같습니다 ^^;;
by 개발로짜
jQuery 6강 - (Traversing) 특정 태그로부터 다른 태그의 위치 찾아보기 (2) | 2014.12.01 |
---|---|
jQuery 5강 - input태그,태그속성을 이용하여 셀렉터 알아보기 (1) | 2014.11.27 |
jQuery 3강 - html() vs text() 함수 차이점 알아보기 + val() 함수를 이용한 input 태그의 값 확인 추가 (0) | 2014.11.12 |
jQuery 2강 - jQuery 자주 사용되는 id,class,태그별 셀렉터 맛보기 (0) | 2014.11.11 |
jQuery 1강 - jQuery 연동부터 $(document).ready() 이해하기 (0) | 2014.10.08 |
jQuery에서 지원되는 함수만으로 간단하게 태그값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반대로 원하는 값을 태그값에 적용 또한 가능합니다.
html()함수와 text() 함수 그리고 val() 함수에 대하여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셀렉터태그내에 존재하는 자식태그을 통째로 읽어올때 사용되는 함수
※ 태그 동적추가할때 주로 사용되는 함수
셀렉터태그내에 존재하는 자식태그들 중에 html태그는 모두 제외 한 채 문자열만 출력하고자 할때 사용되는 함수
※ html태그까지 모두 문자로 인식시켜주는 함수
INPUT 태그에 정의된 value속성의 값을 확인하고자 할때 사용되는 함수
위에 대한 함수들을 각 예제를 통하여 이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일먼저 HTML태그를 가져와 보도록 하겠습니다.
body 태그내에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합니다.
1 2 3 | < div id = "getTag" > < h3 >11111111< br />< span >22222</ span >333333333</ h3 > </ div > |
작성이 완료되셨으면 스크립트 코드를 다음과 같이 추가합니다.
1 2 3 4 5 6 | $( function (){ var getTag = $( "#getTag" ).html(); var getText = $( "#getTag" ).text(); alert(getTag); alert(getText); }); |
실행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처럼 HTML함수는 태그를 포함한 문자열을 통째로 가져왔고
TEXT함수는 태그를 제외한 문자열만 출력을 시켜주었습니다.
다음으로 html() 함수와 text()함수를 적용하여
특정 레이어 영역에 HTML 태그 및 텍스트 태그를 적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존 body태그내에 정의해놓은 태그를 다음처럼 재작성 합니다.
1 2 3 | < div id = "getTag" style = "border-width: 1px;border-style: solid;border-color: red;" ></ div > < br /> < div id = "getText" style = "border-width: 1px;border-style: solid;border-color: blue;" ></ div > |
이어서 스크립트 코드들도 다음과 같이 재작성 해줍니다.
1 2 3 4 5 | $( function (){ var setTag = "<input type='text'><br />텍스트태그 동적추가하기" ; $( "#getTag" ).html(setTag); $( "#getText" ).text(setTag); }); |
코드 작성 후 실행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빨간네모칸친 영역이 html()함수를 적용한 결과이고
파란네모칸 영역이 text()함수 적용 결과데이터입니다.
순수하게 특정 태그내에 존재하는 태그가 문자열만 존재할경우에는
html() 함수나 text() 함수 아무거나 사용해도 무관하지만
태그가 들어있는 경우라면
상황에 따라서 각각의 함수들을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val() 함수를 이용하여 input 태그의 값을 가져오고
value속성에 특정값을 set해보도록 하겠습니다.
body 태그내에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재작성 해줍니다.
1 2 3 | < input type = "text" id = "txt" value = "텍스트값" /> < input type = "password" id = "pwd" value = "패스워드값" /> < input type = "checkbox" id = "chk" value = "체크박스값" /> |
위처럼 다양한 종류의 input 태그들을 예를들기위해 작성하였습니다.
이제 각 태그들의 value값을 가져오도록 해보겠습니다.
1 2 3 4 5 6 7 8 9 | $( function (){ //get value var txtValue = $( "#txt" ).val(); var pwdValue = $( "#pwd" ).val(); var chkValue = $( "#chk" ).val(); alert(txtValue); alert(pwdValue); alert(chkValue); }); |
input 태그의 value값을 각각의 변수에 담아서 alert을 이용하여 화면에 출력 시켜 보았습니다.
값을 얻어왔으면 이제 추가로 value값을 set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존 코드에서 input type="text"인 태그의 value를 변경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존 스크립트 코드를 재정의 해주셔도 되고 기존코드 다음에 하단 코드를 추가해주셔도 무관합니다.
1 | $( "#txt" ).val( "텍스트변경하기" ); |
결과를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text태그내에 담겨있는 "텍스트값"이라는 value값이
"텍스트변경하기" 라고 변경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다음장은 태그들의 속성값에대한 확인 및 속성값 설정에 대하여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by 개발로짜
jQuery 6강 - (Traversing) 특정 태그로부터 다른 태그의 위치 찾아보기 (2) | 2014.12.01 |
---|---|
jQuery 5강 - input태그,태그속성을 이용하여 셀렉터 알아보기 (1) | 2014.11.27 |
jQuery 4강 - attr() vs prop() 함수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알아보자 (4) | 2014.11.15 |
jQuery 2강 - jQuery 자주 사용되는 id,class,태그별 셀렉터 맛보기 (0) | 2014.11.11 |
jQuery 1강 - jQuery 연동부터 $(document).ready() 이해하기 (0) | 2014.10.08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