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개발로짜입니다 ^^이번 부트스트랩 강좌 주제는 버튼 컴포넌트 생성 하는 내용을 다루어 보고자 합니다부트스트랩의 컴포넌트들은단순히 태그에 미리정해져있는 클래스들만 추가 하면깔끔한 화면으로 출력이 되는것이참 마음에 듭니다.이번 시간에는 버튼 컴포넌트들을 다루어 보도록 해보겠습니다.버튼을 만들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button태그를 구현합니다. 일반버..
부트스트랩 강좌를 주제로 포스팅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부트스트랩의 강점은 자주 사용되는 컴포넌트들에 대한 지원이 많다는 것이며단점으로는 IE9이하 버전에서는 기능지원에 제한이 있습니다.그러므로 익스플로러보다는 그외 브라우저 (크롬,사파리 등등..) 에서 실행해주시길 바랍니다.원래는 부트스트랩 파일들을 다운로드 받아서 진행을 해야 겠지만 개발환경이 틀리다보..
안녕하세요 jQuery 강좌 첫번째 시간입니다.jQuery 심플하게 설명하여 jquery 입문자들의이해를 돕고자시작하게 되었습니다.해당 강좌는 jQuery를 설치하지 않고 CDN을 통하여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우선은 CDN URL을 스크립트태그의 src속성에 적용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jquery 최초 쓰던 버전이 1.3 버전이었는데 벌써 1.11에다가 ..
안녕하세요 개발로짜입니다 ^^
이번 부트스트랩 강좌 주제는 버튼 컴포넌트 생성 하는 내용을 다루어 보고자 합니다
부트스트랩의 컴포넌트들은 단순히 태그에 미리 정해져있는 클래스들만 추가 하면
깔끔한 화면으로 출력이 되는것이 참 마음에 듭니다.
이번 시간에는 버튼 컴포넌트들을 다루어 보도록 해보겠습니다.
버튼을 만들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button태그를 구현합니다.
1 | < button >일반버튼</ button > |
한번 실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 class들을 추가해주면 되는데 버튼 UI를 적용하기위해서는 기본적은 "btn" 클래스와
추가적으로 지정된 색상 및 사이즈 버튼을 클래스를 표현하는
"btn-xx" 옵션을 추가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다음 샘플 코드를 먼저 작성해보겠습니다.
코드전 연동법에 관련해서는 다음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2014/10/08 - [웹개발강좌/부트스트랩] - 부트스트랩 1장 - 부트스트랩 연동하기
1 2 3 4 5 6 7 8 9 10 | < button class = "btn btn-default" >DEFAULT</ button > < button class = "btn btn-primary" >BLUE</ button > < button class = "btn btn-success" >GREEN</ button > < button class = "btn btn-info" >SKY</ button > < button class = "btn btn-warning" >YELLO</ button > < button class = "btn btn-danger" >RED</ button > < br /> < button class = "btn btn-default btn-lg" >LARGE DEFAULT</ button > < button class = "btn btn-default btn-sm" >SMALL DEFAULT</ button > < button class = "btn btn-default btn-xs" >VERY SMALL DEFAULT</ button > |
실행화면을 먼저 보시겠습니다.
위에보니 확실히 깔끔한 버튼이 생성되었네요 ㅎ
깔끔한 버튼UI를 만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부트스트랩 기본버튼 : class="btn btn-default"
2. 파랑색버튼 : class="btn btn-primary"
3. 녹색버튼 : class="btn btn-success"
4. 하늘색버튼 : class="btn btn-info"
5. 노란버튼 : class="btn btn-warning"
6. 빨간버튼 : class="btn btn-danger"
※ 사이즈에 대한 코드는 default 버튼에 적용을 하였으나 색상별 적용도 가능합니다.
사이즈 적용을 하기 위해서는 버튼 컴포넌트를 색상별 클래스로 적용 후 다음 클래스를 적용하시면 되겠습니다.
1. default 사이즈에는 별도의 클래스가 필요없습니다.
2. 큰사이즈 경우에는 "btn-lg" 클래스 추가
3. 작은사이즈 경우에는 "btn-sm" 클래스 추가
4. 제일작은 사이즈 경우에는 "btn-xs" 클래스 추가
위처럼 정리를 해볼수가 있겠습니다 ^^
by 개발로짜
부트스트랩 6장 - 스크롤스파이 기능을 이용하여 메뉴포커스 변경해보기 (0) | 2014.10.22 |
---|---|
부트스트랩 5장 - 부트스트랩의 모달창(기본 + ajax) 알아보기 (7) | 2014.10.16 |
부트스트랩 4장 - 부트스트랩을 이용하여 드롭다운 메뉴 생성하기 (2) | 2014.10.14 |
부트스트랩 3장 - 다양한 버튼 컴포넌트를 만들어보자 (그룹버튼 편) (0) | 2014.10.09 |
부트스트랩 1장 - 부트스트랩 연동하기 (3) | 2014.10.08 |
부트스트랩 강좌를 주제로 포스팅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부트스트랩의 강점은 자주 사용되는 컴포넌트들에 대한 지원이 많다는 것이며
단점으로는 IE9이하 버전에서는 기능지원에 제한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익스플로러보다는 그외 브라우저 (크롬,사파리 등등..) 에서 실행해주시길 바랍니다.
원래는 부트스트랩 파일들을 다운로드 받아서 진행을 해야 겠지만 개발환경이 틀리다보니
부트스트랩도 jQuery강좌와 동일하게 CDN 설정을 통해서 강의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부트스트랩 CDN) CSS, JS 파일들을 INCLUDE 해주도록 합니다.
1 2 3 4 5 6 7 | <!-- Latest compiled and minified CSS --> < link rel = "stylesheet" href = "https://maxcdn.bootstrapcdn.com/bootstrap/3.2.0/css/bootstrap.min.css" > <!-- Optional theme --> < link rel = "stylesheet" href = "https://maxcdn.bootstrapcdn.com/bootstrap/3.2.0/css/bootstrap-theme.min.css" > <!-- Latest compiled and minified JavaScript --> < script src = "//code.jquery.com/jquery-1.11.0.min.js" ></ script > |
보통 코드를 작성할때 <head></head> 태그 사이에 많이 include를 하는데
빠른 화면을 위해 JS파일들은 </body> 태그 상단에 위치하게끔
권고를 하고 있는거 같습니다.
예제삼아 작성하는 부분이므로 로딩속도를 고려를 하지 않고
저는 <head></head> 태그 사이에 모든 CSS,JS파일들을 include하겠습니다.
※ 추가로 인지하고 있어야 할 부분이 부트스트랩 + jQuery와 같이 사용을 해야 한다는점 알고계세요~
단순 컴포넌트들은 태그마다 클래스 추가만 하면 되지만 기능실행을 위해서는 jquery가 필수라는 점!!
오늘은 간단하게 연동법만 확인하는 시간이므로
다음 코드를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DOCTYPE html> < html > < head > < meta charset = "UTF-8" > < title >Insert title here</ title > < link rel = "stylesheet" href = "https://maxcdn.bootstrapcdn.com/bootstrap/3.2.0/css/bootstrap.min.css" > < link rel = "stylesheet" href = "https://maxcdn.bootstrapcdn.com/bootstrap/3.2.0/css/bootstrap-theme.min.css" > < script src = "//code.jquery.com/jquery-1.11.0.min.js" ></ script > </ head > < body > <!-- 상단 네비게이션 바 --> < div class = "navbar navbar-inverse navbar-fixed-top" > < div class = "container" > < div class = "navbar-header" > <!-- 브라우저가 좁아졋을때 나오는 버튼(클릭시 메뉴출력) --> < button type = "button" class = "navbar-toggle" data-toggle = "collapse" data-target = ".navbar-collapse" > < span class = "icon-bar" ></ span > < span class = "icon-bar" ></ span > < span class = "icon-bar" ></ span > </ button > < a class = "navbar-brand" href = "#" >부트스트랩 테스트</ a > </ div > < div class = "collapse navbar-collapse" > < ul class = "nav navbar-nav" > < li class = "active" >< a href = "#" >홈으로</ a ></ li > < li >< a href = "#about" >부트스트랩이란</ a ></ li > < li >< a href = "#contact" >문의하기</ a ></ li > </ ul > </ div > </ div > </ div > < div class = "container" > < div style = "margin-top: 100px;" > < h1 >부트스트랩 기본 템플릿입니다</ h1 > < p class = "lead" >여러분은 부트스트랩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수 있습니다.</ p > </ div > </ div > </ body > </ html > |
위와같은 코드 작성 완료 후 실행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결과 정상적으로 부트스트랩이 연동된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부트스트랩은 IE지원이 미약해서 그렇지만 정말 깔끔한거 같네요 ㅎㅎ
다음장부터는 컴포넌트 구현을 하나씩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by 개발로짜
부트스트랩 6장 - 스크롤스파이 기능을 이용하여 메뉴포커스 변경해보기 (0) | 2014.10.22 |
---|---|
부트스트랩 5장 - 부트스트랩의 모달창(기본 + ajax) 알아보기 (7) | 2014.10.16 |
부트스트랩 4장 - 부트스트랩을 이용하여 드롭다운 메뉴 생성하기 (2) | 2014.10.14 |
부트스트랩 3장 - 다양한 버튼 컴포넌트를 만들어보자 (그룹버튼 편) (0) | 2014.10.09 |
부트스트랩 2장 - 다양한 버튼 컴포넌트를 만들어보자 (색상 및 크기 편) (0) | 2014.10.08 |
안녕하세요 jQuery 강좌 첫번째 시간입니다.
jQuery 심플하게 설명하여 jquery 입문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해당 강좌는 jQuery를 설치하지 않고 CDN을 통하여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은 CDN URL을 스크립트태그의 src속성에 적용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jquery 최초 쓰던 버전이 1.3 버전이었는데 벌써 1.11에다가 2.x 버전까지 나왔네요!!
2.x 버전은 뭔지 추후에 확인 해봐야 겠습니다 ㅋ
우선은 간단 예제를 들기위한 것이므로 단순하게 1.11.0 버전은로 진행을 하겠습니다.
웹파일을 하나 생성 후 jQuery CDN 스크립트 태그를 include 해주는 것을 우선해주세요
위치는 <body> 태그내에 혹은 <head> 태그내에 상관은 없겠지만
기본적으로 저는 <head></head> 태그 사이에 넣도록 하겠습니다 .
1 | < script src = "//code.jquery.com/jquery-1.11.0.min.js" ></ script > |
다음으로는 $(document).ready()에 대하여 설명을 드리겠는대요
1 2 3 | $( function (){ // code insert }); |
위와 같이 더욱 간결하게 사용하실수도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셨던분이시라면 window.onload와 동일한 기능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는대요.
물론 window.onload, $(function(){}) , $(document).ready() 의 onload 스크립트 코드들은 body태그의 모든 태그들이
출력된 다음에 호출이 되는 코드입니다.
onload 라고 해서 모두 같은 1순위인건 아닙니다.
호출순서는
1. $(document).ready() = $(function(){})
2. window.onload
위 순서입니다.
즉, 둘이 동일하게 body 태그내의 모든 코드를 읽은 후 호출되는 onload 기능들이어도
순수 window.onload 코드가 가장 나중에 호출이 된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HTML 태그가 읽히는 예제를 한번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DOCTYPE html> < html > < head > < meta charset = "UTF-8" > < title >Insert title here</ title > < script src = "//code.jquery.com/jquery-1.11.0.min.js" ></ script > < script type = "text/javascript" > alert("HEAD ALERT 경고창"); window.onload = function(){ alert("window.onload ALERT 경고창"); } $(document).ready(function(){ alert("$(document).ready ALERT 경고창"); }) </ script > </ head > < body > < script type = "text/javascript" > alert("BODY ALERT 경고창"); </ script > </ body > </ html > |
샘플로 작성한 HTML 코드는 위와 같습니다.
총 4개의 ALERT이 화면에 뜨도록 작성해보았는대요
결과를 미리 예상해보자면
1차 ALERT 메시지 : HEAD ALERT 경고창
2차 ALERT 메시지 : BODY ALERT 경고창
3차 ALERT 메시지 : $(document).ready ALERT 경고창
4차 ALERT 메시지 : window.onload ALERT 경고창
코드 순서로 따지자면 결과가 위처럼 나올거 같습니다.
호출순서가
위 -> 아래 -> $(document).ready() -> window.onload 형태라고 말씀을 드렸으니까...
그렇다면 실제로 html 코드를 실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실행결과 예상대로 결과값이 정상적으로 나왔습니다.
^^ 그럼 다음 포스팅으로 돌아오겠습니다~
by 개발로짜
jQuery 6강 - (Traversing) 특정 태그로부터 다른 태그의 위치 찾아보기 (2) | 2014.12.01 |
---|---|
jQuery 5강 - input태그,태그속성을 이용하여 셀렉터 알아보기 (1) | 2014.11.27 |
jQuery 4강 - attr() vs prop() 함수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알아보자 (4) | 2014.11.15 |
jQuery 3강 - html() vs text() 함수 차이점 알아보기 + val() 함수를 이용한 input 태그의 값 확인 추가 (0) | 2014.11.12 |
jQuery 2강 - jQuery 자주 사용되는 id,class,태그별 셀렉터 맛보기 (0) | 2014.11.11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